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사람은 나이가 들면 주름이 늘고 피부가 처지며, 근력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이 "사람은 일정한 비율로 서서히 늙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급격하게 노화가 진행되는 시점이 두 번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노화(Nature Aging)'에 게재됐다.
이번 실험에는 25세~75세의 남녀 108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는 1~7년간에 걸쳐 수개월마다 혈액·대변·피부·구강·비강 샘플을 제공했다. 연구팀은 이 샘플에서 13만5000종 RNA와 단백질, 대사물,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을 분석해 생체 분자와 미생물 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대부분의 생체 분자와 미생물 양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연령에서 급격하게 변동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현저한 변화는 44세 무렵과 60세 무렵에 집중되어 일어난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연구팀은 당초 40대 중반에 나이가 드는 것은 여성의 갱년기 전 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했지만 데이터를 보면 남성에서도 같은 변화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44세 무렵에는 카페인, 알코올, 지질 대사,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분자의 양에 큰 변화가 있었다. 또 60세 무렵에는 면역, 탄수화물 대사, 신장기능과 관련된 분자의 양에 변화가 보였다. 피부와 근육 노화와 관련된 분자는 44세 무렵과 60세 무렵 모두에서 변화가 관찰됐다.
이번 연구의 수석저자인 스탠퍼드대 유전학자 마이클 스나이더 교수는 "우리는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아주 극적인 변화를 겪는다. 특히 40대 중반과 60대 초반은 극적인 변화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분자의 변화 가운데 일부는 생활습관 및 행동 요인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아직 건강할 때 생활습관을 바꾸어야 한다"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방적인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식생활 건강해도 늙어보인다?...OO 섭취 줄여야
- 저렴한 보충제로 뇌 기능 개선...장 건강에도 효과적
- 치매 진단 받았는데...알고보니 간 질환?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기억력 향상에 효과적
- 인간 DNA에 잠든 고대 바이러스가 암세포 스위치?
- 건강 책임지는 엽산? 섭취량 줄이면 오래산다
- 나이 들수록 키가 줄어드는 이유는?
- '취중진담'...술에 취해 하는 말은 진심일까?
- 인체 면역세포는 어디에 얼마나 존재할까?
- 노화 신호탄 흰머리, 검은머리로 되돌릴 수 있을까
- 카페인, 도파민 차단해 알코올 의존증 치료 도와
- 아기 건강 위협하는 '뽀뽀'...전문가 경고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