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pexels.com

[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 2020년 국제 의학저널 '란셋'(The Lancet)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7월 기준 세계 인구는 약 78억 명이다. 

인류는 매일 탄생과 사망을 반복하며 그 수를 계속 늘려가고 있다. 변화하는 인구를 인구통계학자는 어떻게 추정하고 있는지 과학 뉴스미디어 '라이브 사이언스'(Live Science)가 해설했다. 

세계 인구는 1800년 10억 명, 1959년 30억 명을 돌파했으며, 1987년 50억 명, 2011년에는 70억 명으로 증가했다. 유엔에 따르면 2023년에는 80억 명, 2100년에는 110억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Lancet

오픈 액세스 통계 사이트 'Our World in Data (OWID)'에 따르면 대부분의 인류 역사에서 인구 증가의 속도는 비교적 느린 편이었다. 기원전 1만 년 전에는 400만 명이 지구에 살고 있었으며 서기 1000년까지 1억 9천만 명으로 늘었다. 

그 후 1300년대에 발생한 전염병(페스트)의 세계적 유행으로 세계 인구는 33~55% 감소한다. 그 후 1700년부터 1800년까지의 산업 혁명을 계기로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해 1927년 인구는 20억 명에 도달하고, 공중위생의 향상과 항생제 발견으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 1959년에는 30억 명, 1999년에는 60억 명까지 증가했다. 

또 연평균 인구 증가율은 기원전 1만 년에서 서기 1700년까지 약 0.04%, 1920년부터 1950년까지 약 1%, 1960년대 후반부터 1998년까지 2.04%로 증가했다. 유엔 인구통계학자인 사라 헤르토그는 1900년대 후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원인으로 어린이의 사망률 감소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이비붐의 등장을 꼽았다. 

최근 인구 증가율은 크게 둔화되고 있으며, 2020년 인구 증가율은 약 1.05%지만, 증가율 감소가 모든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가령 2020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인구 증가율은 약 2.7%로 세계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다. 

ⓒ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unsplash

출산율은 세계 인구를 추정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 명의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TFR)이 증가하면 인구도 늘어난다.  

이 합계출산율은 북미와 유럽은 1.7인데 반해,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는 4.6이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명 이하(0.92명)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평균 1.63명)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헤르토그는 지역에 따라 출산율 차이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여성 교육과 고용 문제 등이 연관되어 있다고 말한다. 여성이 남성과 동일한 교육 기회가 주어진 경우 출산 시기가 늦어지고 출산률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도시화도 출산율 감소로 이어진다. 

또 사망률도 중요한 수치다. 모든 국가가 국민의 출생 및 사망을 기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여겨지지만, 인구통계학자들은 평균 수명 등 다른 수치를 이용해 사망률을 추정한다. 

OWID에 따르면, 1800년 이전 세계 모든 지역의 평균 수명은 약 30세에 불과했지만 1995~2000년에는 65세로 증가했고 2019년 기준 72.6세에 달한다. 평균 수명도 지역에 따라 다르며, 2016년 기준 아프리카 평균은 61.2세, 유럽은 77.5세를 기록하고 있다. 

인구통계학자들은 각국의 인구 동태 통계와 인구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출생·사망·이민 등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러나 개발도상국과 분쟁 국가의 경우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여론 조사 등을 통해 유추하고 있다.

라이브 사이언스는 "세계 인구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지구의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 교육 및 의료를 어떤 지역에 배분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