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화 기술 성과 한자리에서 공개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KAIST 모빌리티 연구소는 23일 충남 내포지식산업센터에서 ‘2025 기술시연회’를 열고, 자율주행, 디지털 트윈, 원격 발레파킹 등 상용화 단계 기술과 산업 현장 적용 사례를 공개했다.
이번 시연회는 KAIST가 축적한 연구 성과를 기업과 지자체 협력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미래 모빌리티와 AI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마련됐다. 연구소는 이번 행사를 통해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 모델과, 기술 상용화 과정에서의 실질적 성과를 동시에 보여줬다.
◆ 상용화 단계 핵심 기술 시연
이번 시연회에서는 6개 핵심 기술이 공개됐다. △이동형 ESS 전력 플랫폼 △내포 디지털 트윈 △중소기업 특화형 자율주행 로봇 △원격주행 발레파킹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AI 컴퓨팅센터가 그 주인공이다. 이동형 ESS 전력 플랫폼은 재난 현장이나 도서·외딴 지역 등 전력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전력망을 구축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친환경 전력 분야의 사업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내포 디지털 트윈은 실제 도시와 교통 상황을 3D 가상 환경으로 구현해, 교통 모니터링, 상황 예측, 재난 대응, 정책 검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스마트시티 구축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중소기업 특화형 자율주행 로봇은 공장 내 물류 적치대를 정밀하게 이동·적재하며, 중소 제조업의 물류 혁신 가능성을 보여줬다. 원격주행 발레파킹 기술은 대전에서 원격 제어된 차량이 내포 연구소까지 이동해 목적지 주차까지 완료하며, 원격 자율주행의 안정성과 실효성을 입증했다.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는 축소차 기반 연구성과를 교육·산업 실증 플랫폼으로 확장한 사례로, 내년 ‘2025 KAIST 모빌리티 챌린지 경진대회’를 통해 차세대 인재 양성과 기술사업화를 동시에 추진할 예정이다. AI 컴퓨팅센터는 RE100 기반 전력 시스템과 AI 최적화 기술을 공개하며, 입주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AI 생태계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지자체·기업 협력으로 실현되는 미래 모빌리티
KAIST 모빌리티 연구소는 이번 시연회를 통해 지자체 및 기업과 협력해 연구성과가 실질적으로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과정을 보여줬다.
장기태 모빌리티 연구소장은 “이번 시연회는 KAIST 연구성과가 산업 현장으로 확산되는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지자체와 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미래 모빌리티·AI 기술의 상용화와 지역 산업 발전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는 기술 혁신으로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다”며 “연구성과가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모습을 뜻깊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기업과 지자체와 협력을 통해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술시연회는 연구와 산업계 협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와 AI 기술의 상용화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국내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산업 혁신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