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장현국 대표 이미지 출처 / 넥써스
©데일리포스트=장현국 대표 이미지 출처 / 넥써스

ㅣ데일리포스트=곽민구 기자ㅣ블록체인 시장에서 '신뢰'는 단순한 마케팅 용어가 아니다. 투명성과 공정성을 기반으로 한 ‘신뢰’는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핵심 요소다.

수많은 프로젝트가 단기적 수익을 우선시하며 불투명한 운영 방식을 취하는 현실에서 넥써쓰(NEXUS) 장현국 대표의 차별화된 행보가 업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최근 장 대표는 크로쓰(CROSS) 토큰 프라이빗 세일 과정에서 가격을 동일하게 유지하고, 자신의 월렛 주소를 공개하는 등 '공정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철학을 직접 실천해 주목을 받았다.

지난 18일, 장현국 대표는 크로쓰 프라이빗 세일의 가격을 공식적으로 공개하며 “자신 역시 같은 가격에 토큰을 매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1000만 달러 규모의 프라이빗 세일에서 크로쓰 토큰의 가격을 0.10달러로 유지하며, 퍼블릭 세일에서도 동일한 가격을 적용하는 방침을 고수할 것임을 공식화했다.

이는 일반적인 블록체인 프로젝트와는 대조적인 방식이다. 보통 프라이빗 세일에서는 초기 투자자들에게 더 낮은 가격을 제공해 왔지만, 장 대표는 "공정성이 곧 신뢰이며, 신뢰가 생태계의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모든 투자자들에게 동일한 기회를 부여한 것.

©데일리포스트=크로쓰 이미지 출처 / 넥써스
©데일리포스트=크로쓰 이미지 출처 / 넥써스

장현국 대표는 크로쓰의 프라이빗 세일 과정에서 단순한 운영자가 아닌 '참여자'로 함께 했다. 그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자신의 개인 월렛 주소를 공개하고, 직접 200만 달러 상당의 크로쓰 매입을 선언했다.

이 같은 행보는 프로젝트 리더가 단순히 정책을 결정하는 위치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조건에서 생태계에 참여하며 책임을 공유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대표들이 내부적으로 토큰을 할당 받거나 특혜를 받는 경우가 많지만, 장 대표는 이를 배제하고 솔선해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만들었다.

실제 장 대표는 전 위메이드 대표 재직 시절, 2022년 4월부터 급여 및 배당금으로 위믹스를 매입한 바 있다. 그가 창업 의지를 새기며 새롭게 출발한 넥써쓰 호에서 크로쓰의 공개 매입 의사를 밝힌 것도 책임 경영의 일환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접근 방식이 블록체인 시장에서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장 대표가 제시한 '공정성'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는 요소로 어떻게 작용될지,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