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빅터 앰브로스 매사추세츠대 교수가 강연 / 최종현 학술원 제공
©데일리포스트=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빅터 앰브로스 매사추세츠대 교수가 강연 / 최종현 학술원 제공

|데일리포스트=송협 대표기자| “최종현학술원과 뿌리를 공유하는 한국고등교육재단은 The Way to Stockholm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학생들이 노벨상 시상식 주간을 현장에서 체험하고 세계 최고 석학들의 업적과 자세를 탐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종현학술원은 차세대 리더들이 세계 지성들과 직접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마련하겠습니다.”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겸 한국고등교육재단 대표)

마이크로 RNA 발결과 유전자 제어 역할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빅터 앰프로스 미국 매사추세츠 의대 교수가 방한했다.

최종현학술원은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빌딩에서 고등학생, 대학생 및 대학원생 200명을 대상으로 빅터 앰프로스 교수 초청 강연을 열었다. ‘동물 발달을 제어하는 유전자와 분자 매커니즘’을 주제로 한 이번 강연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생명과학자 이준호 서울대 교수가 사회자로 참여했다.

앰브로스 교수는 지난 1993년 예쁜꼬마선충에서 마이크로RNA를 처음 발견하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실제로 그의 연구를 기반으로 선충뿐 아니라 인간을 비롯한 많은 동물에서 마이크로RNA가 세포 발생, 생장, 노화 등 생명 현상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2024년 노벨위원회는 “마이크로RNA 발견은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패러다임을 바꿨다”며 생리의학상 수상자 선정 배경을 밝힌 바 있다.

앰브로스 교수는 “제 연구의 원동력은 꾸준함이며 천문학에 관심 많았던 아마추어였지만 우연히 들어간 생물학 연구실에서 트레이닝을 받으며 저의 꾸준함이 자신감으로 발전했다.”며 “이는 제 역량이 되어 결과가 만들어지고 이제는 만족감을 느끼며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앰브로스 교수는 강연을 통해 예쁜꼬마선충 연구를 통한 발달 조절 유전자의 발견 lin04와 lin-14 유전자의 기능 규명, 최초의 마이크로RNA인 lin-발견 등 연구 업적을 설명했다.

마이크로RNA는 RNA와 달리 단백질을 암호화하지 않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앰블로스 교수는 유전자가 단순히 DNA에 지시받는 것이 아니라 마이크로RNA와 같은 작은 RNA 조각들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마이크로RNA 크기는 매우 작지만 동식물 기관의 형성과 생명체 탄생, 성장, 면역, 신경계 발달 등 생명 현상 전반에 결정적 작용을 한다.

앰브로스 교수는 “마이크로RNA를 활용하면 질병 원인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질병 치료법 개발에 혁신적인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마이크로RNA의 정밀한 조절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세포는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이는 다양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앰브로스 교수는 미국 버몬트주 한 농장에서 자라며 개기일식 직전이나 직후에 발견되는 음영대를 관찰한 결과를 과학저널에 처음 소개햇던 아마추어 천문학자 시절을 언급했다. “전문 과학자가 되기 위해 197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데이비드 볼티모어 교수의 지도를 받고 200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로버츠 호비츠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다양한 기회와 경로를 통해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