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대만 공동연구팀, 집고양이 기대수명 조사 결과 발표
평균 11.7살...암컷·중성화 수술·교배종이 1년 더 살아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고양이를 키우는 반려인이라면 자신의 고양이가 가능한 한 오래 살았으면 좋겠다고 바랄 것이다.
약 8000마리의 집고양이를 조사한 최근 연구에서 가장 수명이 긴 고양이와 가장 단명한 고양이의 품종, 그리고 성별 및 중성화 수술(거세) 유무에 따른 수명의 차이가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는 수의학 학술지 '고양이 의학 및 외과 저널(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에 실렸다.
영국 왕립수의대와 대만 국립중흥대 공동 연구팀은 이 논문에서 반려동물의 동물 복지 향상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 '벳캠퍼스(VetCompass)'에 등록된 영국 집고양이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동물병원에 다닌 고양이 가운데 2019년 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사망한 7936마리의 고양이다.
연구팀은 정확한 데이터 파악을 위해 품종별 기대수명을 작성했다. 이는 고양이의 평균 여명, 즉 앞으로 얼마나 더 살지를 추정한 것이다.
분석 대상이 된 12품종 전체의 0세부터의 평균 기대수명은 11.74살이었다. 품종별로 기대수명이 가장 긴 종은 평균 14.4년을 사는 버미즈(14.42살)와 버먼(14.39살)이었다.
그다음이 전체 분석 대상 가운데 88%를 차지한 교잡종으로 11.9살이었고 샴이 11.7살로 뒤를 이었다. 국내에서도 관심이 높은 러시안 블루는 9.7살, 벵갈 고양이는 8.5살을 기록했다.
반면 수명이 가장 짧은 고양이는 털이 없는 스핑크스였다. 평균 기대수명이 6.68살에 불과해 버미즈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스핑크스 품종은 몇 가지 질환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4세 이상의 약 65%가 특정 심장병을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성별 ▲중성화 수술 유무 ▲잡종 여부 ▲체중 등이 수명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암컷은 수컷보다 수명이 1.2년 더 길고, 거세한 고양이는 고양이 전체 평균 대비 1.07년 더 오래 살았다. 또 교배종 고양이는 순혈종 고양이보다 1.27년 더 살았다.
또 체중 과다나 미달은 모두 단명으로 이어졌다. 성별 및 품종별 체중 중앙값에서 100g 증감할 때마다 수명은 0.02년, 대체로 일주일 정도 감소했다.
대만 국립 중흥대 수의대 켄디 쯔윤 텡(Kendy Tzu-yun Teng)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가 소셜미디어에 공유되자 반향이 컸다. 많은 이들이 '남은 시간이 정말 짧다' '고양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현재를 소중히 해야겠다'고 전했다"며 "이러한 감상은 고양이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나 유대감, 관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