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대학 연구 현장에서의 보안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KAIST와 국가정보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제4회 대학 연구보안교육 협의회 워크숍'이 글로벌 연구 환경 변화 속에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장으로 마무리됐다.
◆ 글로벌 연구보안, 정책과 현장 해법 공유
이번 워크숍은 21일 KAIST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에서 열렸으며, '글로벌 연구보안'을 주제로 국내외 기술 유출 위험이 국가 경제와 과학기술 교류에 미칠 파장을 집중 논의했다. 정부 차원의 연구보안 로드맵과 대학별 우수사례, 현장 매뉴얼이 공유되며 실질적 대응책 마련에 초점이 맞춰졌다.
발표 세션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가 연구안보 정책 방향을 제시했고,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외국인 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무역안보관리원(KOSTI)은 이중용도 품목 및 기술 수출통제 제도를 설명했으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연구보안 매뉴얼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대학별 발표에서는 KAIST의 글로벌 연구보안 추진 사례와 용인대의 보안 전문인력 양성사업이 공유됐다.
◆ 70여 개 대학 참여…'개방성과 보안의 균형 필요'
이번 행사에는 서울대·이화여대를 비롯한 전국 70여 개 대학과 과기정통부, 국정원, KIRD, KISTEP, KOSTI 관계자 등 130여 명이 참석했다. 연구보안 인식 확산을 위한 정부·대학 협력 체계가 강조된 자리였다.
조병관 KAIST 연구처장은 'KAIST의 연구보안 강화 노력이 다른 대학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도록 선도적인 제도 도입을 이어가겠다'며 '가능한 한 개방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폐쇄적으로(as open as possible, as closed as necessary)라는 원칙을 적용해 연구보안과 국제 교류가 조화를 이루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학 연구보안교육협의회는 KAIST와 국가정보원이 공동 주관하고 KIRD가 협력해 2022년 6월 출범했으며, 올해 워크숍은 KAIST·국가정보원·강원대학교가 공동 개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