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Light: Science & Applications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Light: Science & Applications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텍사스대 오스틴캠퍼스 연구팀이 칩 기반 초소형 3D 프린터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광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라이트: 사이언스 앤 애플리케이션(Light: Science & Applications)'에 게재됐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Light: Science & Applications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Light: Science & Applications

포토닉 칩을 중심으로 제작된 이 3D 프린터는 직경 약 24.26mm의 25센트 동전과 비슷한 크기의 초소형 장치다. 가동 부품이 없고 특정 파장의 빛이 닿으면 급속히 경화되는 액체 수지에 레이저를 투사해 조형하는 방식을 쓴다. 이 수지는 빛에 노출되면 고체화되어 복잡한 모양과 구조를 빠르게 형성한다. 

3D 프린터 자체의 마이크로 광학 안테나 배열을 통해 빔의 초점을 정확하게 움직여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낸다. 연구팀은 개발한 3D 프린터를 사용해 불과 수 초만에 매사추세츠공대 로고인 MIT를 프린팅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Light: Science & Applications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Light: Science & Applications

수석 저자이자 EECS 대학원생인 사브리나 코르세티(Sabrina Corsetti)는 "광경화성 수지로는 적외선 파장으로 경화시키기 어렵다. 이번 3D프린터는 표준 광화학과 실리콘 포토닉스의 중간에서 가시광으로 경화되는 수지와 가시광 발광 칩을 사용한다. 즉, 두 가지 기술을 융합해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가 탄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Light: Science & Applications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Light: Science & Applications

연구팀의 옐레나 노타로스(Jelena Notaros) 박사는 "이 시스템은 3D 프린터가 무엇인지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실 의자에 앉아 물건을 만드는 거대한 장치가 아닌, 한 손으로 휴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탄생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나 3D프린팅 분야가 향후 어떻게 변화할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의 응용 분야와 잠재력이 광범위하다고 강조한다. 임상의가 맞춤형 의료기기 부품을 만들거나, 구급대원이나 엔지니어가 현장에서 신속하게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다.  

해외 IT 매체 탐스하드웨어(Tom's Hardware)는 "가령 정형외과 의사가 3D 스캐너로 스캔한 환자의 골절 상태를 바탕으로, 이 3D 프린터를 사용해 골절 치료를 돕는 맞춤형 뼈 임플란트를 제작할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향후 가시광 홀로그램을 조사해. 한 단계만으로 3D 프린팅을 구현하는 새로운 칩을 개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