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송협 대표기자| “원전은 건립하는데 최하 15년이 걸리는 반면 태양광과 풍력은 1~2년이면 가능한 만큼 대대적으로 건설을 해야 합니다. (신규 원전 건설) 안전성이 확보되고 부지가 있으면 되지만 거희 실현 가능성이 없을 것 같습니다.”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 중)
이재명 대통령이 신규 원전 건설을 사실상 백지화하고 재생에너지 확대를 강조하면서 한국원자력학회가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다. 학회는 “원전을 배제한 정책은 산업 생태계 붕괴와 국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대통령실과 공식 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앞서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통해 “원전 건설에는 최소 15년이 걸린다”며 “1~2년이면 가능한 태양광·풍력을 대규모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규 원전 건설 계획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며 사실상 백지화를 시사한 바 있다.
한국원자력학회는 12일 호소문을 통해 “건설 기간이 길다는 점이야말로 지금 당장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라며 대통령의 논리를 정면 반박하면서 첨단산업의 전력 수요를 정조준했다.
학회는 “AI·반도체·미래차 등 차세대 산업은 24시간 끊김 없는 전력을 필요로 한다”며 “원자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 인프라”라고 못 박았다. 아울러 “전력 공급이 흔들리면 공장은 멈추고, 대한민국 산업의 심장이 멎게 된다”며 “불안정한 에너지원 의존은 바닷물을 마시는 것과 같은 위험한 선택”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학회는 재생에너지 확대의 필요성 자체는 부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태양광·풍력 설비의 대부분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무분별한 확대는 ▲국부 유출 ▲국내 산업 생태계 붕괴 ▲장기적 전력 불안정성 심화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부를 향해 ▲신규 원전 건설 재추진 ▲AI 시대에 맞는 안정적 전력 공급 정책 마련 ▲대통령실과의 공식 대화 창구 개설 등을 촉구하고 “국가 에너지 정책은 정치적 이념이 아닌 과학적 사실과 국익에 기초해야 한다”며 “대통령의 현명한 결단이 국가 산업의 생존을 좌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