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SK텔레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SK텔레콤

ㅣ데일리포스트=곽민구 기자ㅣSK텔레콤이 외부 해킹 공격을 받아 고객의 유심 관련 정보가 유출됐음을 알렸다.

SK텔레콤은 22일 “장비에 악성코드가 심어져 고객 유심(USIM)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을 지난 19일 발견하고 즉각 당국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관계 당국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한 비상대책반을 꾸렸으며, 현재 피해 규모 및 원인 분석을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

유심은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가입자의 통신 인증 및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다. 유심 안에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같은 개인정보는 담겨 있지 않지만, 유심이 통째로 유출됐다면 휴대폰 무단 복제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해 SK텔레콤 측은 “해킹 정황을 인지한 즉시 해킹 의심 장비를 격리 조치하고, 전체 시스템 전수조사 중”이라며 “불법적으로 유심을 사용하려는 시도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피해 의심 징후가 발견되면 즉각적인 이용 정지 및 안내 조치를 하고 있어 유심과 관련해 문제 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SK텔레콤은 소비자 불안 해소를 위해 유심 보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모든 통신사가 보안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해킹 사건은 되풀이되고 있다. 2014년 3월엔 KT 홈페이지가 해킹당해 120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바 있으며, LG유플러스는 2022년 데이터베이스 해킹으로 30만 명에 달하는 회원의 개인정보가 불법 거래 사이트로 유출된 바 있다.

SK텔레콤 측은 “고객에게 심려를 끼쳐드려 진심으로 사과를 전한다”며 “이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보안 체계를 강화하고 고객 정보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입장을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