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엘니뇨 현상은 적도 부근에서 태평양의 해수면 수온이 평소보다 높아져 기상 패턴이 교란되는 기후 현상으로, 세계 각지에 가뭄이나 호우 등 이상기후를 일으킨다.
영국 레딩대학 연구팀은 엘니뇨 현상과 유사한 새로운 기후 현상이 뉴질랜드와 호주 부근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지구물리학연구저널:해양'(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에 게재됐다.
신형 엘니뇨 현상에서는 남반구를 한 바퀴 도는 해수면 온도가 변동하면서 번갈아 온난하고 차가운 영역을 4개 형성한다. 처음에는 뉴질랜드와 호주 부근에 있는 좁은 해양에서 시작되는데, 대기 중에 물결 모양의 패턴을 만들고 이것이 강한 서풍에 의해 남반구 전체로 퍼진다. 그리고 대기파가 이동하면서 해수 온도에 영향을 미쳐 따뜻한 지역과 차가운 지역이 생긴다.
이 현상은 '해면 온도 변동이 대기를 통해 광역의 기상에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는 엘니뇨 현상과 유사하다. 하지만 엘니뇨 현상은 저위도 열대에서 발생하는 반면, 신형 엘니뇨 현상은 중위도에서 발생하는 차이가 있다.
연구팀은 신형 엘니뇨 현상을 'Southern Hemisphere Circumpolar Wavenumber-4 Pattern'이라고 명명했다.
연구팀은 300년분의 기후조건을 시뮬레이션하는 기후모델을 통해 Southern Hemisphere Circumpolar Wavenumber-4 Pattern을 추적했다. 이 모델은 대기·해양·해빙의 요소를 조합해 지구 기후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데이터 분석 결과, 남반구를 둘러싼 해수면 온도 변동의 반복 패턴을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이 패턴은 열대 지방의 다른 기상 시스템, 가령 해류와 무역풍의 엘니뇨나 그 반대인 냉각 단계인 라니냐와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신형 엘니뇨 현상은 남반구의 여름, 즉 12월부터 2월에 걸쳐 일어나는데, 수개월 사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남반구 전체의 기후 패턴은 이미 관측된 바 있어 이번 연구는 기후 패턴 설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
논문 최대 저자인 바라지 세나파티(Balaji Senapati) 박사는 "신형 엘니뇨 현상은 항상 지구 기후의 일부였지만 이제 막 발견됐다. 우리는 지구 기상에 변화를 가져오는 새로운 스위치를 찾은 셈이다. 이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해양이 지구의 날씨와 기후 패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