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송협 선임기자| “국장, 네이버는 정상적으로 뉴스(기사)가 송출되고 있는데 다음(DAUM)에는 기사가 전혀 나가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 기사뿐 아니라 그동안 작성(5년 치)한 기사도 다 증발해버렸어요. 어떻게 된건지 알아봐 주세요.” (데일리포스트 취재기자)

평소와 다름없이 기사를 작성하고 있던 지난 22일 오후, 자사(데일리포스트) 취재기자한테 다급한 전화가 걸려왔다. 22일 당일 기사는 물론 지난 2019년 8월 네이버+카카오(다음) 뉴스 검색 제휴 평가 심사를 어렵게 통과한 이후 작성된 모든 기사가 하루아침에 사라졌다는 황당한 내용의 전화였다.

다음의 검색창에서 자사의 언론사명 ‘데일리포스트’를 검색해봤다. 기사가 단 한 개도 보이지 않았다. 자사 소속 취재기자들의 바이라인(기자명) 검색도 일일이 해봤다. 역시 기사가 단 한 개도 보이지 않았다. 마치 지우개로 지운 듯 깨끗하게 지난 5년간의 기록이 사라진 것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기자가 타 언론사 기사 하나를 보내왔다. 내용인즉슨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사이트 ‘다음’이 사전 협의도 없이 일반 이용자가 뉴스를 검색할 경우 ‘콘텐츠 제휴(Content Partner, 이하 'CP사')' 언론사 기사를 우선 공개하는 기능을 도입했다는 내용의 기사다.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면 그동안 다음에서 일반인 이용자가 검색 창에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앞서 언급했던 콘텐츠 제휴사(CP社) 기사와 우리 회사와 같은 ’검색 제휴 기사‘가 동일하게 노출되도록 검색 시스템을 운영했지만 기사가 한꺼번에 증발한 22일 오후 4시부터 CP사들의 기사를 제외한 일반 검색 제휴사가 작성한 기사들은 노출이 되지 않게 된 것이다.

이른바 ’뉴스 검색 기본값(디폴트 값)‘을 CP사 기사가 노출되도록 시스템을 변경했기 때문이다. 다음은 불이익을 받게 된 뉴스 검색 제휴 언론사들의 반발을 의식한 듯 검색 옵션을 ’전체 기사‘로 설정하면 기존처럼 검색 제휴사들의 기사를 볼 수 있도록 기능을 설정하는 얄팍한 꼼수도 아끼지 않았다.

문제는 편리함에 익숙해진 일반인 이용자들이 이미 설정된 기본값을 일일이 바꾸면서까지 뉴스를 검색할지 요원하다. 결과적으로 일반 검색 제휴사들의 기사 노출 빈도는 이전보다 급감하는 만큼 사실상 다음에서 퇴출 수준을 밟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군소 언론사 중심의 뉴스 검색 제휴사들과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뉴스 환경 변화를 강조하며 배열 방식을 변경해왔던 다음의 독선적인 폐단을 묵묵히 참아왔던 검색 제휴사들이 이제 약속이나 한 듯 다음을 향해 맹공을 퍼붓고 있다.

도대체 왜? 다음은 감당하지도 못할 무리수를 두고 있는 것인가? 보수 우파 성향의 정권에서 그동안 좌파 성향 포털로 이미지가 굳혀진 탓도 배재할 수 없지만 가장 큰 원인으로는 모기업 카카오의 사법리스크에 따른 빗나간 충성심이 작용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몇 년간 소상공인의 골목상권을 침해하고 문어발식 경영확대를 통해 공룡보다 더 큰 몸집을 키워낸 카카오, 여기에 계열사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배차 과정에서 ’콜 몰아주기‘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윤석열 대통령까지 나서 카카오를 ’부도덕한 기업‘으로 지목했다.

여기에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과 경영진들이 시세 조정에 관여하면서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까지 받고있는 만큼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봉착한 카카오와 구속 위기의 김범수 센터장 구하기에 뛰어든 다음의 무리한 쌩쇼가 빚어낸 촌극이라는 전언도 지배적이다.

“다음이 이렇게 많은 욕을 먹으면서까지 입점사들과 사전 협의도 없이 서둘러 변경에 나선 이유가 무엇일까요? 실제 다음을 통제하는 카카오 수장인 김범수 센터장의 사법리스크에 알아서 충성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퇴출은 우리가 아니라 21세기에 언론을 탄압하고 나선 다음이 돼야죠.”(뉴스 검색 제휴 언론사 대표)

’탐욕‘의 아이콘으로 점철된 카카오와 그 수장을 구하기 위해 선봉에 나선 다음(DAUM)이 언론사들로부터 뭇매를 맞고 있다. 솔직히 다음의 몸부림에 측은하기까지 하다. 리스크는 오너의 몫인데 비난은 힘없는 계열사 다음이 맞고 있다.

이번 사태 이전에도 뉴스 서비스의 다양성을 강조하며 자신의 플랫폼에 입점한 소중한 입점사들과 단 한 번의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통보한 다음의 ’견강부회(牽强附會)‘와 같은 행태가 이제는 종식돼야 한다. 자신(다음)의 역겨운 치부를 감추기 위해 ’가당치도 않은 말과 이치를 억지로 끌어다 자신에게 유리하게 맞추는 조악한 작태‘ 말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