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pexels

[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 "동네에서 만난 이웃과 짧게 대화할 생각이었는데 너무 길어졌다" "할 이야기가 많았는데 상대가 대화를 도중에 끊었다" 등 내가 원하는 타이밍에 대화가 끝나지 않은 경험은 누구나 있다. 

미국 하버드 대학과 펜실베니아 대학 공동연구팀은 모두가 바라는 타이밍에 대화가 끝나는 것은 전체의 2% 미만이며, 대화의 98%가 서로가 납득한 시간에 끝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대화에 기반한 사회적 관계는 신체적·정신적 행복감과 이어지는 중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어떻게 대화를 시작하고 끝나야 하는지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각자의 생각이 다르다.

연구팀은 실제로 이루어진 대화의 길이와 사람들이 실제로 기대한 대화 길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조사를 했다.

첫 번째 조사에서는 806명의 실험 참여자에게 최근의 대화를 떠올려 당시 느낀 감정과 대화가 끝난 타이밍에 대해 답해 달라고 요청했다. 실험 참여자가 기억한 대화 중 80%가 애인·친구·가족 등 친밀한 관계와 이루어진 것이었지만, 응답자의 약 66%가 "이쯤에서 대화를 마무리해야겠다"는 지점을 넘겨서도 대화가 이어졌다고 답했다. 

또 대화가 길어지고 있다고 느낀 사람은 원하는 시기에 대화를 마무리한 사람보다 대화를 즐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PNAS

두 번째 조사에서는 252명을 대상으로 서로 모르는 사람이 짝을 이뤄 대화를 나누도록 했다. 이 실험에서 1분~45분 사이의 대화를 요청하고 대화가 끝나면 인터뷰를 통해 느낀 감정과 대화를 마친 시점을 청취했다.

인터뷰 결과는 첫 번째 조사와 거의 같았다. 실험 참여자의 68% 이상이 "중간에 대화를 끝내고 싶은 타이밍이 있었다"고 답했다. 본인이 원하는 시간보다 대화가 길었던 사람은 두 번째 실험 역시 대화를 별로 즐기지 못했다. 

두 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조사 대상이 된 대화의 98% 이상이 적어도 어느 한쪽이 원하지 않는 타이밍에 대화가 끝났고, 서로 원하는 시간에 대화가 종료된 경우는 2% 미만에 불과했다. 이 수치는 이야기 상대의 친밀도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unsplash

대화를 원하는 시간에 끝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을 배려해 맞추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많은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대화를 하지만, 대화의 흐름은 인생에서 익힌 '대화의 패턴'에 따른 것이다. 대화 패턴은 가령 "상대의 이야기를 어느 정도 듣고 난 이후에 내가 말한다" "본론으로 넘어가기 전에 가벼운 이야기를 먼저 나눈다" 등이 있다. 후자의 경우 "함께 식사할까요?"라는 제안 전에 "식사했어요?"라는 흐름이 적용된다. 이처럼 서로가 패턴에 따라 대화를 하게 되면 대화는 길어지기 마련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