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사진 좌측 소화기내과 김강모 교수·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 / 서울아산병원 제공
©데일리포스트=사진 좌측 소화기내과 김강모 교수·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 / 서울아산병원 제공

|데일리포스트=송협 선임기자| “간암은 내과, 외과, 방산선 종양학과, 영상의학과 등 여러 과가 긴밀하게 협력해 치료방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적의 치료방법 제안과 생존율을 예측한 본 프로그램이 각 병원 인프라와 연결되고 인허가 과정을 거친다면 실제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김강모 교수)

인공지능(AI)를 활용해 환자별 치료방법을 제안하고 생존율을 예측하는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 국내 의료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김강모·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팀이 개발한 이 시스템은 각 기관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치료법을 제안한다는 의료진의 간암 치료 방향 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진단 분야에 국한됐던 인공지능(AI) 역할을 확장해 치료방법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증명됐다.

국내 간암 사망률은 OECD 국가 가운데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암으로 인한 전체 국내 사망원인 중 간암이 12.2%를 차지하고 있다. 진단받은 환자 대다수가 B형 혹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 가운데 80% 이상 간경변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간암의 위치나 크기, 전이 여부 뿐 아니라 진단 당시 잔존 간 기능이 치료 선택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김강모·김남국 교수팀은 개별 환자가 병원별로 어떤 치료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지 예측하고 그 치료를 받은 이후 생존율을 예측하는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서울아산병원을 비롯해 ▲고대구로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세브란스병원 ▲인하대병원 ▲중앙대병원 등 국내 9개 기관에서 지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간세포암을 진단받고 치료를 받은 환자 2685명의 기존 임상정보와 암 진단 후 처음 받은 치료의 종류, 치료 후 생존 데이터를 수집해 병원별로 나눠 인공지능을 학습시켰다.

이 같은 연구 결과 치료 예측 정확도는 서울아산병원 내부 및 외부 데이터셋에서 각각 87.27% 및 86.06%였고 생존 예측 정확도 역시 91.89%와 86.48%로 높은 진단성능을 보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실물과 똑같은 상황을 가상모델로 구현하고 여러 상황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진단 분야에만 적용되는 인공지능을 치료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라며 “치료 방향 설정이 어려운 간암 환자에서 병원별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기반 임상 의사결정 시스템이 가능해졌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고대구로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이경화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최광현 교수와 공동연구로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네이처 파트너 저널 디지털 메디신 온라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