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딩 많이한 축구선수, 인지 기능 저하 가능성 높아
[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 축구 경기를 관전하다 보면 '헤딩'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헤딩은 뇌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어린이의 헤딩을 금지하고 있는 지역도 존재한다.
전 잉글랜드 대표 축구 선수인 제프 아스틀은 은퇴 후 치매에 걸렸고 5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부검의는 사인으로 헤딩 반복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019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축구선수 출신 스코틀랜드인 남성이 신경변성질환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일반 남성보다 약 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21년의 연구에 따르면 헤딩을 자주 하는 포지션을 담당한 선수일수록 신경변성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다만 이러한 연구는 사망한 전 축구 선수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영국 리버풀 존 무어 대학과 독일 킬대학 공동 연구팀은 "축구는 전세계인이 즐기는 스포츠로, 이에 따른 위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살아있는 실험 대상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면 사망한 축구 선수 대상의 연구보다 상세한 정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전 축구 선수를 대상으로 헤딩과 인지 기능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평균 연령 68세의 전 축구 선수 60명을 대상으로, 알츠하이머병 진단 등에 이용되는 인지 기능 검사 TYM(Test Your Memory)를 실시했다. 이와 함께 ▲포지션 ▲선수 경력 ▲트레이닝 체제 ▲두부 외상 유무 ▲경기 및 훈련에서 실시한 평균 헤딩 횟수 등을 종합해 분석했다.
그 결과, 총 헤딩 횟수가 많은 사람일수록 TYM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또 헤딩 10만회 당 TYM 점수가 3포인트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TYM에서 3포인트의 점수차는 인지 능력 저하를 나타내기에 충분하다. 프로 축구선수의 총 헤딩 회수는 수십만회에 이르기 때문에, 10만회도 결코 많은 숫자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번 조사에 대해 "우리가 아는 한 본 연구는 은퇴한 프로 축구 선수의 헤딩과 인지 장애와의 관련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한 최초의 연구다. 인지장애는 치매 발병의 징후"라고 언급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훈련 중 헤딩 횟수를 제한하고 앞으로도 헤딩이 플레이어에게 미치는 영향과 영향을 완화하는 방법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논문은 '신경심리학 저널'(Journal of Neuropsych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