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OpenAI, 초대형 AI 동맹 결성… K-인공지능 생태계 ‘가속 페달’
최태원-샘 올트먼 회동으로 메모리 공급·AI 데이터센터 협력 강화 SKT·SK하이닉스·OpenAI ‘AI 벨트’ 구축 통해 글로벌 AI 경쟁력 제고
|데일리포스트=송협 대표기자|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SK 핵심 파트너로 참여하게 됐습니다. 메모리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까지 아우르는 SK의 통합 AI 인프라 역량을 이번 파트너십에 집중해 글로벌 AI인프라 혁신과 대한민국의 국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 나서겠습니다.” (SK그룹 최태원 회장)
SK그룹이 글로벌 인공지능(AI) 혁신의 핵심 주체인 오픈AI(OpenAI)와 손잡고 차세대 AI 인프라 생태계 구축에 본격 참여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메모리 공급, 데이터센터 구축, AI 가속기 협력등 반도체와 통신을 아우르는 전략적 연합으로, 대한민국의 AI 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촉진할 전망이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과 샘 올트먼(OpenAI CEO)을 비롯한 양사 경영진이 서울 서린빌딩에서 만나, 메모리 공급 의향서(LOI)및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사의 협력에 따라 SK하이닉스는 오픈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고대역폭메모리(HBM)반도체를 공급하며,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한다. 특히 이번 LOI는 SK하이닉스의 D램 기반 HBM 기술력과 안정적인 공급망 역량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인정받은 사례로 평가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경험을 기반으로 ‘한국형 스타게이트(Stargate Korea)’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한다. 양사는 한국 서남권 지역에 오픈AI 전용 AI 데이터센터를 조성해 차세대 AI 연산 및 데이터 처리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단순한 기술 제휴를 넘어 ‘AI 인프라 전주기(全週期) 혁신 동맹’으로서 메모리 반도체–데이터센터–AI 서비스로 이어지는 산업 밸류체인 통합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SK하이닉스의 HBM 공급은 글로벌 AI 칩 경쟁 구도에 새로운 변수를 제공하며 향후 엔비디아·AMD와의 공급 협력 확대 가능성도 주목되며 이번 파트너십은 한미 간 ‘AI경제동맹’의 실질적 출발점으로 한국이 글로벌 AI 인프라 허브로 부상하는 데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SK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글로벌 AI 대전환의 한가운데에서 대한민국이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분기점”이라며, “SK는 빅테크와의 전략적 연대를 강화해 K-AI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그룹은 AI를 신성장축으로 삼고 있으며, 앞서 AWS와 함께 추진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프로젝트와 연계해 동서 AI 벨트 구축을 통한 국가 균형 발전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