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이재명 당선에 '민주주의 회복' 주목…대외 정책 변화 촉각

탄핵 이후 혼란 수습 기대 속, 외교 지형 변화 가능성 주시

2025-06-04     김정은 기자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Reuters 뉴스 캡처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어제(3일) 치러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자, 주요 외신들은 긴급 속보로 이를 전하며 한국의 정치 혼란이 일단락되고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 당선인의 외교 및 대북 정책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 당선 속보 전하며 한국 민주주의 회복력 조명

로이터는 3일 오후 11시 40분쯤(한국시간) 지상파 3사의 당선 확실 보도 직후 이 후보의 감사 발언을 속보로 전했다. 매체는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은 국내 정치 안정을 되찾고, 계엄령 선포와 전 대통령 퇴진을 둘러싼 법정 혼란 이후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을 회복할 기회"라고 분석했다.

AFP는 "거의 30년 만에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이번 선거가 수개월간 이어진 정치 혼란에 마침표를 찍었다"며, "이 당선인이 확실한 국민적 지지와 국회 장악력을 갖췄다"고 보도했다. AP통신은 이 후보의 승리를 ‘격동의 시기를 마무리 짓는 선거’라고 보도하며, 민주주의의 회복을 상징하는 결과라고 해석했다.

영국 BBC는 "수개월간의 정치적 격동 끝에 한국은 주요 진보 정당의 이재명을 새 대통령으로 선택했다"고 전했다. 또 가디언은 이 당선인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령에 대한 '분노의 물결'에 힘입어 당선됐다며, 이번 대선을 건강한 민주주의의 증거로 평가했다.

◆ 외교·대북 정책 변화 가능성에 주목

외신들은 이 당선인의 외교 기조가 한미동맹 유지와 함께 중국 및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병행하려는 ‘균형 외교’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재명 당선인은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견제 전략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미동맹 강화, 일본과의 협력, 북한 인권 문제 제기 등 전 정부 기조를 일정 부분 계승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나, 자신을 미국 상원의원 버니 샌더스에 비유하며 다자적 외교와 실용성을 강조해 왔다"고 전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AP News 유튜브 캡처 

뉴욕타임스는 실시간 개표 상황을 전하며 "이 당선인은 분열된 사회를 치유하고 경제를 살리겠다고 약속했으며, 외교에 있어서는 한미동맹을 국가 안보의 기반으로 유지하되 중국·북한과의 긴장 완화를 함께 추구하겠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 후보를 "외교정책 재편의 비전을 갖춘 진보 성향 지도자"로 묘사하며, 특히 중국 문제에서 트럼프 행정부와 마찰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AP는 "이 당선인이 한미일 3국 협력 강화를 강조하는 등 실용 외교 기조를 취하고 있으며, 북한과의 관계에서 급진적인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프랑스 르피가로는 "예측 불허의 북한 위협에 대응하면서도, 미·중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고 보도했다.

◆ 대일 관계 및 국내 과제에 대한 우려도

일본 교도통신은 "한국에서 3년 만에 진보 정권이 복귀했다"며, 윤 전 대통령의 계엄령에 대한 국민 반발이 이재명 후보의 승리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또 이 후보가 선거 유세 과정에서 윤 정부의 대일 정책을 '굴욕 외교'라고 비판했음에도 일본을 주요 협력국으로 언급한 점에 주목하며 "한일 협력에 의욕을 보이지만 지지층은 일본에 비판적인 입장이 많아 양국 관계는 불확실하다"고 전망했다.

NHK는 이 당선인을 "가난한 가정에서 성장해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며 SNS를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해 온 인물"로 소개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NHK유튜브 캡처 

유럽 언론들은 경제·복지 등 국내 과제에도 주목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은 "한국은 여전히 저성장, 저출산, 소득 격차, 높은 생계비 등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이 당선인이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았다고 지적했다. 영국 가디언은 "윤 전 대통령이 남긴 깊은 분열과 경제 둔화, 북핵 위협, 미중 갈등 등 복합적 도전이 이 당선인을 기다리고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