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AI 한국 법인 설립…국내 AI 시장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국내 AI 생태계 및 글로벌 AI 산업 판도 변화 기대
|데일리포스트=송협 대표기자| “가장 먼저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되는데 AI 연구개발을 비롯해 기술 지원, 정책 협력 등을 담당하게 될 한국지사 설립에 따라 AI 전문가와 관련 인력 채용이 이어질 전망이어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됩니다. 무엇보다 오픈 AI의 한국 진출은 또 다른 글로벌 AI 기업들의 한국 내 투자와 진출을 촉진, 한국을 아시아 AI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곽재원 KRT 네트웍스 연구위원)
제이슨 권 오픈 AI 최고 전략 책임자(CSO)가 지난 26일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화 했다. 오픈 AI 한국 법인을 설립하고 한국 사회에서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AI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계획과 함께 국가 AI 인프라 확대를 위해 정치권과 협력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전 세계 인구 8억 명이 사용하고 있는 혁신 인공지능 탑재 검색엔진 챗GPT 개발사 ‘오픈 AI(OPEN AI)’가 한국 법인을 설립하고 국내 시장에 공식 진출한다.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비롯해 국내 AI 당국-기업과 협력 확대를 위해서다.
오픈 AI는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5GW(기가와트) 규모 데이터 센터 클러스터를 건립하는 등 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해외 확장 프로그램 ‘오픈 AI 포 컨트리즈’를 발표한 바 있다. 제이스 권 오픈 AI CSO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한국 법인 설립을 공식화하고 수개월 내 서울에 사무소를 열고 국내 IT 기업과 정부, 정치권 등 이해관계자들과 협력을 추진할 인력 채용에 나설 예정이다.
오픈AI는 현재 아시아 지역에서 일본 도쿄와 싱가포르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지난 1년간 영국 런던, 아일랜드 더블린, 벨기에 브뤼셀, 프랑스 파리 등에 11개 지사를 설립했다.
오픈AI는 아시아에서는 일본 도쿄와 싱가포르에 지사를 운영 중이며, 전 세계적으로는 영국 런던, 아일랜드 더블린, 벨기에 브뤠셀, 프랑스 파리 등 11개 도시에 지난 1년간 사무소를 확장했다.
오픈AI는 한국에 공식 진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카카오, 크래프톤, SK텔레콤 등 국내 주요 기업들과 AI 기술 협력을 꾸준히 확대해 왔다.
권 CSO는 “한국은 반도체에서 소프트웨어까지 AI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역량을 갖춘 국가이며 무엇보다 다양한 연령층이 AI를 일상에서 적극 활용하는 선도적인 시장인 만큼 한국의 기업과 개발자, 연구자들과 협력을 강화해 한국형 AI 개발에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시장에서 한국형 AI 개발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에도 오픈 AI는 국내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권 CSO는 “AI 인프라 구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에 데이터센터가 구축될 경우 그 규모 등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며 “다만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등 데이터센터 공급사와 데이터 국내 보관 등에 대해 협력하고 있다.”고 일축했다.
그는 또 “현지 정부와 기업으로부터 스폰서를 받고 오픈 AI가 인프라에서 통합해 사용할 수 있는 AI 모델을 제공하는 파트너십을 UAE와 맺고 있는데 이와 유사한 협력을 한국에서 추진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픈 AI의 한국지사 설립이 기술, 산업, 정책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며 단순한 해외 진출을 넘어 국내 AI 생태계와 글로벌 AI 산업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오픈 AI는 한국을 미국 다음으로 챗GPT 유료 구독자가 많은 국가로 평가하며 높은 기술 수용성과 디지털 인프라를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를 비롯해 SK하이닉스, 카카오, 크래프턴 등과 협력을 통해 AI 기술 및 반도체, 플랫폼 서비스 융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