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에게 천천히 말하면 이해도 더 높아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개에게 말을 걸 때는 평소보다 느리게 말하는 편이 소통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제네바대 행동 생태학자인 엘로이즈 데오 박사 연구팀이 개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적합한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유튜브에서 개의 울음소리와 짖는 소리, 인간의 일상 대화와 개에게 말을 거는 음성 데이터를 수집해 개와 인간의 자연스러운 발화 속도를 조사했다.
이어 전극이 달린 헤드캡을 장착한 개에게 속도와 내용을 바꿔가며 주인의 목소리로 녹음된 지시를 들려주고 이를 따르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개가 주인의 목소리를 들었을 때 뇌파 활동은 0~4Hz인 델타파 대역에서 가장 강하게 관찰됐다. 이에 반해 인간의 뇌가 음성을 처리하는 경우는 주로 4~8Hz의 세타파 대역의 뇌파 활동이 활발하다.
뇌파와 음성 신호의 동기성 측정에서는 인간의 뇌파가 1~10Hz의 넓은 범위에서 음성 신호와 동기화한 반면, 개의 뇌파는 1~3Hz의 범위에서 음성 신호와 강하게 동기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개는 1초에 약 2음절로 짖거나 으르렁거리는 발성을 하는 반면, 인간은 통상적 대화라면 1초에 약 4음절, 개에게 말을 걸 때는 약 3음절로 속도를 늦추는 경향을 보였다.
즉, 인간이 개에게 말할 때의 발화 속도는 '통상적인 대화 속도'와 '개의 자연스러운 발성 속도'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개의 청각 처리 능력에 맞춰 발화 속도를 조정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개와 더 잘 소통하기 위해서는 천천히 말을 거는 것이 효과적"이라며 "특히 지시를 내릴 때는 같은 말과 어조를 사용해 반려견의 이해력에 맞춘 속도로 말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전했다.
엘로이즈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오랜 공생의 역사 속에서 인간과 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진화해 왔음을 시사한다"며 향후 다른 동물과의 비교나 다른 언어 및 문화에서의 검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