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파업도 벅찬데…보건의료노조 파업 예고에 한덕수 총리 ‘파업 철회’ 당부
|데일리포스트=송협 선임기자| “정부는 보건의료인분들이 계속되는 격무로 어려움을 겪고 계사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정부는 여러분의 어려움을 너무나 잘 알고 있고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27일 보건의료노조파업 관련 관계장회의 中)
정부의 의대 2000명 증원 감행 여파로 불거진 의-정 갈등이 반년을 훌쩍 뛰어넘고 있는 가운데 전공의 공백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가뜩이나 인력 부족난에 시달리고 있는 의료현장의 부담감이 커지면서 인력 확충과 개선을 촉구하는 간호사 중심의 보건의료 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정부가 긴급 관계 장관 회의를 소집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보건의료노조 파업 관련 관계장관회의에서 보건의료노조가 오는 29일 총파업을 예고한데 대해 전공의 이탈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는 호나자와 그 가족들의 마음을 헤아려 이번 파업 결정 철회를 요구하고 협치 없는 정쟁을 이어가고 있는 국회에는 회기 내 간호법 제정을 당부했다.
한 총리는 "전공의 공백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의료현장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건의료노조가 총 파업을 결정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 면서 “노조에서 파업을 강행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과 환자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사 증원을 포함한 의료 개혁을 완수하고 왜곡된 필수 의료와 지역 의료를 정상화해야 하는 중차대한 시기에 파업과 같은 집단행동보다 대화와 타협을 통해 의료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한 의료 개혁 완수의 길에 힘을 보태줄 것을 호소했다.
한 총리는 "정부는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국민들의 의료 이용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비상 진료 체계와 응급 의료 체계 유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파업에 들어가더라도 응급 의료, 중환자 치료, 수술·분만·투석 등 병원의 필수 유지 업무는 법에 따라 그 기능이 유지된다."고 했다.
한 총리는 국회에 간호사 법의 조속한 제정을 요청했다. 그는 "간호사 법은 의료 비상시기에 헌신하고 있는 간호사들이 좀 더 안심하고 환자 치료와 보호에 전념하실 수 있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법률"이라며 "이번 회기 내에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