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 지구온난화 관측 나선 한화시스템…‘온실가스 관측위성’ 개발
|데일리포스트=송협 선임기자| “이번 수주는 한화시스템이 소형 SAR 위성에 이어 초분광 위성 시장까지 진출했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생각하며 여기에 그치지 않고 EO-IR-SAR 위성을 통해 쌓은 역량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위성을 개발하며 K-스페이스 대표기업이 되겠습니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
분광(分光)은 파장 차이에 따라 빛을 나누는 대기화학 스펙트럼을 의미한다. 초분광(初分光)은 빛을 수백여 대역으로 나눠 영상 형태로 저장하고 아주 먼 거리의 피사체까지 세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아주 먼 거리 피사체까지 면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초분광 위성 사업에 한화 시스템이 출사표를 던지고 나섰다.
한화시스템은 국립환경과학원이 주관하는 ‘온실가스 관측용 초소형 초분광 위성’ 개발사업을 수주했다. 사업비는 405억 원 규모이며 오는 2028년까지 총 5기 위성을 개발해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초분광 영상 기술은 현재 ▲대기 및 토양의 오염-비오염 판별 ▲가뭄 및 홍수 등 재해 탐지-분석 ▲농작물 작황 정보 제공-분석 ▲산림 병충해 여부 식별 ▲지표 특성 분석 기능을 이용한 자원 탐사 등 분야에 쓰이고 있다.
개발에 나설 위성은 고도 600km 이하 저궤도를 돌며 지구온난화 주범으로 꼽히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산출하고 분포를 측정해 과다 배출 우려 지역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게 될 예정이다.
한화스시템이 초분광 위성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사업 수주를 계기로 한화시스템은 EO-IR-SAR-초분광 등 지구관측위성 기술 역량을 종합적으로 보유한 국내 유일 기업이 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한화시스템의 온실가스 관측위성은 지난해 12월 소형 SAR 위성 개발 및 반사에 성공한 역량을 바탕으로 50kg 이하 무게 초소형 위성으로 개발된다. 초소형 관측 위성은 중-대형 위성 대비 단기간-저비용으로도 개발이 가능하다.
또 여러 대를 군집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더 넓은 지역을 더 잦은 빈도로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다. 한화시스템은 기술검증을 위해 오는 2027년 상반기 온실가스 관측용 초소형 초분광 위성 1호기를 먼저 발사하고 2028년 상반기 2-3-4-5호기를 동시 발사할 예정이다.
◆용어 해설
-EO-IR(Electro-Optical-Infra-Red) 전자광학 적외선의 약자이며 전자광학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관측하는 시스템이다.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지만 기상조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SAR(Synthetic 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다의 약자이며 레이다를 순차적으로 쏜 후 굴곡면에 반사돼 돌아오는 미세한 시간찰르 처리해 관측하는 레이다 시스템이다. 주-야간 악천후에도 고해상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다.
한편 지구온난화 문제가 전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며 위성을 통한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화시스템은 향후 온실가스 최대 발생 및 피해국을 대상으로 위성체 및 영상 데이터 수출-판매 등 추가 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메탄과 이산화탄소 이외에도 온실가스 물질에 대해 관측이 가능한 초분광 위성 역시 지속적으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