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에서 마시는 술이 더 위험한 이유

2024-07-01     김정은 기자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Flickr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여행이나 출장 등으로 비행기를 탔을 때 맥주나 와인을 마시는 사람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새로운 연구에서 비행기를 탄 상태에서 술을 마시면 심장에 불필요한 부담이 되어 위험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 '흉부학(Thorax)'에 게재됐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Thorax

고지대나 기내 등 기압이 낮은 곳은 공기 중 산소 압력도 저하되기 때문에, 혈중 산소포화도(SpO₂)가 낮아진다. 혈중 산소의 포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산소포화도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약 95%에서 100% 사이를 기록한다. 

산소포화도가 90% 아래로 떨어지면 신체조직으로 운반되는 산소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저기압성 저산소증(hypobaric hypoxia)' 상태가 된다. 

독일 항공우주센터 에바-마리아 엘멘호스트(Eva-Maria Elmenhorst) 박사 연구팀은 알코올 섭취와 수면이 저기압성 저산소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실험에서는 40명의 실험 참여자가 '지상 기압 수면실 그룹'과 '항공기 내 기압(순항 고도) 수면실 그룹'으로 나뉘어 전날 밤 알코올을 섭취한 경우와 섭취하지 않은 경우 총 2일 밤 수면을 취했다. 

섭취한 알코올은 맥주 2캔 또는 와인 2잔 분량이었고, 주어진 수면 시간은 4시간이었다. 수면 시간을 짧게 정한 이유는 비행 중 숙면이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한 것이다. 

실험 결과, 지상 기압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사람의 평균 혈중 산소포화도는 95%, 평균 심박수는 77회 미만이었고, 알코올을 섭취하지 않은 사람의 평균 혈중 산소포화도는 96%, 평균 심박수는 64회 미만이었다. 

한편, 항공기 내 기압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사람의 평균 혈중 산소포화도는 85%, 평균 심박수는 약 88회로 증가했다. 알코올을 섭취하지 않은 사람의 평균 혈중 산소 포화도는 88% 이상, 평균 심박수는 73회 미만이었다. 

이 결과를 종합하면, 항공기 내 기압에서는 지상 기압보다 혈중 산소 포화도가 낮고 심박수는 높으며 알코올을 섭취하면 그 영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혈중 산소포화도는 90% 이상이기 때문에 항공기 내 알코올 섭취는 건강에 여러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출처/Unsplash 

특히, 낮은 혈중 산소 포화도와 높은 심박수는 심혈관에 불필요한 부담을 준다. 따라서 자주 장거리 비행을 하는 습관이 있는 사람이나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이 항공기 내에서 음주를 하는 것은 심장 건강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표본이 적고 젊고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고령자와 지병이 있는 사람에게는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내 알코올 섭취는 과소평가되고 있는 건강 위험 요인이지만 쉽게 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