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스포츠 영상' 시청하면 식사량 늘어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달리기 등 간단한 운동 영상을 시청하는 것만으로도 식사량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EM리옹 경영대학원과 그르노블 경영대학원 공동 연구팀은 '스크린상의 스포츠 시청이 식사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학생 112명을 실험실로 불러 동영상 시청 후 70g의 사탕을 주고 3분 동안 그 맛을 평가해달라고 요청했다. 참여자들은 남녀가 스포츠를 하는 영상 또는 스포츠와 관계없는 영상 중 하나를 시청한 뒤 3분간 원하는 대로 사탕을 먹었다.
실험 결과, 스포츠 영상을 본 학생은 스포츠와 관계없는 영상을 본 학생보다 더 많은 사탕을 먹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 실험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훨씬 많은 사탕을 먹었고, 그 결과가 남학생에 의해 초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시청 스포츠의 종류가 사탕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도 불분명했다.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여학생만을 대상으로 추가 실험을 진행했다. 이 실험에서는 '간단한 스포츠(서로 다른 풍경을 달리는 여성과 남성)' 영상 혹은 '어려운 스포츠(멀리뛰기·체조·럭비·암벽등반)' 영상 중 하나를 보여주고 첫 번째 실험과 마찬가지로 사탕을 먹도록 했다.
그러자 간단한 스포츠 영상을 본 실험 참여자는 약 약 30.1g의 사탕을 먹은 반면, 어려운 스포츠 동영상을 본 실험 참여자는 약 18g의 사탕을 먹었다. 즉, 시청 스포츠의 난이도가 실제로 사탕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며,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스포츠를 시청하면 어려운 스포츠를 시청하는 것보다 사탕 소비량이 늘어난다'는 것이 확인됐다.
아래가 실험 참여자가 시청한 간단한 스포츠 영상이다.
'왜 어려운 스포츠보다 간단한 스포츠 영상 시청 쪽이 식사량이 증가할까?'라는 의문에 대해 연구팀은 목표 달성의 동기부여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사람은 목표가 달성되지 않았다고 느끼면 더 노력하지만,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게으름을 피우기 쉽다는 것. 가령 건강 유지를 목표로 한 사람은 어느 정도 운동을 하면 '목표에 가까워졌다'고 여겨, 그 후의 식사 관리 등에 소홀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여성이 간단한 스포츠 동영상을 본 뒤 식사량이 늘어난 배경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에 신경을 쓰고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단순히 스포츠를 관전하는 것만으로도 피트니스 목표의 대리 성취감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어려운 스포츠라면 자신의 모습을 대입해 상상하기 어렵지만, 간단한 운동이라면 운동하는 내 모습을 상상하기 쉽고 이미 운동을 한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더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선택하거나 식사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음식의 질과 선호도(Food Quality and Preference)’에 게재됐다.
호주 비영리 학술매체 더컨버세이션은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라면 간단한 조깅이나 워킹 영상보다는 프로 경기 등 자신이 하기에는 어려운 스포츠 영상을 보는 것이 좋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