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중국산 EV에 관세폭탄..."최대 38% 추가"

2024-06-13     김정은 기자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BYD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7월 이후 중국산 수입 전기차(EV)에 잠정적으로 최대 38.1%의 관세를 추가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U로 수입되는 중국산 배터리 전기차(BEV)에는 현행 10%의 수입 관세가 붙는데, 최대 38.1%의 관세가 추가될 가능성이 시사된 것이다. 

미국에 이어 유럽까지 관세 폭탄 조치에 나서면서 중국발 저가 공습에 위기감을 느끼는 한국 업체들은 한숨을 돌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P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중국산 전기차의 대유럽 수출이 급증하는 가운데, 2023년 10월 14일부터 중국산 전기차가 과도한 보조금 혜택을 받고 있다며 정식 조사를 진행했다. 

해당 조사를 통해 "EU의 전기차 제조사가 경제적 손해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잠정적으로 결론 내렸다. 실제로 유럽 자동차 업체들은 중국발 저가 전기차 공세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EU 집행위원회

EU 집행위원회는 중국 당국과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 있지만, 협의를 통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중국 전기차 수입에 대해 잠정적 관세 최대 38.1%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7월부터 임시로 추가 관세가 부과되고, 올 하반기 EU 회원국의 투표를 거쳐 조치를 확정한다.

추가 관세 대상이 된 중국산 전기차는 중국 제조사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외 제조사가 중국에서 제조하고 있는 것도 포함된다. 여기에는 중국 공장에서 생산해 유럽으로 수출해온 테슬라와 BMW 등도 속해 있다. 역수입 사례는 평균 추가 관세인 21%가 적용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BYD는 17.4%, 지리(Geely) 20%, 중국국영자동차업체 SAIC의 경우 38.1%의 관세가 기존 10% 관세에 추가 부과된다. 다른 업체들은 협조적이면 평균 21%, 비협조적이면 38.1%의 관세가 부과된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BYD

이에 앞서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당시 중국산 전기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그 4배인 100% 인상을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중국산 전기차 수요가 거의 없던 미국과 달리 유럽은 상황이 다르다. 관세가 높아지면 내수시장 경쟁이 치열한 중국 제조사는 적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이에 현대차 등 한국 완성차업체가 반사 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조치로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유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 전기차 업계는 지난해 4분기 BYD가 테슬라 판매량을 추월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BYD는 2100km 항속거리와 100km당 2.9리터의 저연비를 실현한 'Qin LDM-i'와 'Seal 06 DM-i'를 발표하며 주목을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