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 서로 '이름' 부른다..호칭 정해 의사소통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케냐 사바나에 서식하는 코끼리의 울음소리를 분석한 새로운 연구에서 야생 코끼리가 개체마다 독자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름을 불러 서로 소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학 및 진화(Nature Ecology & Evolution)'에 게재됐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CSU) 행동생태학자인 마이클 파르도(Michael A. Pardo) 박사는 오랜 세월에 걸쳐 야생 아프리카코끼리를 연구하며, '코끼리들이 개별적인 울음소리를 사용해 서로를 부르는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하게 됐다. 지금까지 아프리카코끼리 울음소리에 이름이 포함됐는지를 검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파르도 박사가 이끄는 CSU 연구팀은 케냐 삼부루와 암보셀리 국립공원에서 1986~2022년에 걸쳐 녹음된 아프리카코끼리의 울음소리를 머신러닝 모델로 분석해 울음소리 중에 '이름'으로 추정되는 것이 포함됐는지 확인했다.
코끼리의 울음소리라고 하면 '뿌우' 같은 코를 이용한 큰 소리를 상상하는 사람이 많을지 모르지만, 실제로는 사람 귀에는 들리지 않을 정도로 낮은 저주파음이 많다. 연구팀은 코리끼 이름이 이러한 저주파음에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머신러닝 기반 AI 모델에 울음소리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를 부여하고, 각 울음소리가 어떤 아프리카코끼리를 향한 것인지를 가르쳤다. AI는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이들이 내는 소리 가운데 특정 코끼리를 부르는 소리로 추정되는 음향을 분류했다. 모델 훈련에는 99마리의 울음소리가 사용되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AI 모델은 27.5%의 수신자 식별에 성공해, 총 17마리의 코끼리 이름을 확인했다.
이어 연구팀은 '아프리카코끼리가 이름에 반응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름이 확인된 17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코끼리들은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소리를 재생한 스피커에 훨씬 더 크게 반응했다.
실험 모습은 아래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구팀은 코끼리와 떨어진 곳에서 이름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되는 울음소리를 들려준다. 소리를 들은 코끼리는 소리가 난 방향을 보고 귀를 크게 흔들며 반응한다.
이름을 의미하는 울음소리를 내는 것은 아프리카코끼리만이 아니다. 앞선 연구로 돌고래와 앵무새도 개체를 식별하는 '콜사인'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다만 돌고래와 앵무새의 경우 상대가 내는 소리를 모방해 서로를 부른다.
파르도 박사는 "아프리카코끼는 특정 울음소리가 자신을 부르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단순히 상대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는 다른 동물과는 달리, 사람처럼 각자 고유의 호칭으로 서로를 부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아프리카코끼리는 자신의 이름이 포함된 울음소리를 들으면, 그렇지 않은 울음소리와 비교해 ▲평균 128초 빨리 울음소리의 발신원에 접근하고 ▲평균 87초 빨리 자신의 울음소리를 돌려주며 ▲평소의 2.3배에 달하는 발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는 아프리카코끼리가 복잡한 사회를 구성하는데 있어 개체를 이름으로 식별할 필요가 있으며, 추상적인 사고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