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미국서 9조원 규모 반도체 보조금 받는다
ㅣ데일리포스트=곽민구 기자ㅣ미국에 신규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인 삼성전자가 미국 정부로부터 약 9조원 규모의 보조금을 받게됐다.
미국 상무부는 15일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 제조시설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삼성전자에 직접 보조금으로 최대 64억달러(약 8조8000억원)를 제공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미국에 반도체 공장과 함께 패키징(포장) 시설, 연구·개발(R&D) 거점을 새롭게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는 삼성전자가 지난 2022년 건설에 들어간 테일러 신규 공장에 투입할 170억달러를 포함해 오는 2030년까지 총 약 450억달러(약 62조3000억원)를 미국에 투자할 것을 약속한 데 따른 것이다.
테일러 공장은 오는 2026년 가동을 시작해 최첨단 2나노미터(㎚) 반도체를 생산할 예정이며, 두 번째 공장과 R&D 시설은 오는 2027년부터 운영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아시아 지역에 집중된 첨단 반도체 제조역량을 자국 중심으로 재편하기 위해 '반도체 과학법'을 제정, 공장 설립을 약속한 기업에는 대규모 보조금을 약속한 바 있다. 이에 인텔은 1000억달러(약 138조4000억원)를, TSMC는 650억달러(약 90조원)를 투자할 것임을 발표했고, 인텔과 TSMC는 각각 최대 85억달러(약 11조8000억원), 66억달러(약 9조1000억원)의 보조금을 받게 된다.
삼성전자는 인텔과 TSMC에 비해 적은 투자 규모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보조금을 받게될 것이라고 전망됐으나, 투자 대비 보조금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금 규모가 확정됨으로써 삼성전자는 공장 가동을 위한 준비 작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우선 올해 하반기 중 초기 양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출 계획이며 이후 2025년부터 본격적인 대량 양산이 예상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삼성전자의 보조금 규모 확정 이후 성명을 통해 “삼성으로부터 400억 달러가 넘는 투자를 이끌어내 텍사스주 중부는 최첨단 반도체 생태계로 자리매김하게 할 것”이라며 “최소 2만15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최대 4000만 달러가 지역 인력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