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Unsplash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경구피임약은 배란을 억제함으로써 피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월경에 수반되는 여러 증상을 경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경구피임약에는 배란을 조절하기 위한 호르몬이 포함되어 있어, 이 영향으로 두통·고혈압·혈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경구피임약의 적절한 복용 타이밍을 맞추면 알약에 포함된 호르몬(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양을 90% 이상 줄여도 배란 예방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논문은 국제학술지 '플로스 컴퓨테이셔널 바이올로지(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게재됐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PLOS Computational Biology

경구피임약에는 원래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함유되어 있어, 이 작용으로 배란을 억제해 수정이나 착상을 막는다. 또 개인에 따라 큰 고통을 수반하는 월경 증상을 완화하고 월경 불순 개선과 같은 효과를 얻기도 한다. 

많은 이점이 있는 경구피임약이지만 부작용으로 구역질·메스꺼움·두통 등이 있고, 중대한 부작용으로 혈전증 위험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사람이라도 복용을 주저하거나 중단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필리핀국립대학교(UP,Diliman) 연구팀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경구피임약의 최적 투여 타이밍과 투여량을 조사하고 잠재적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지 분석했다. 컴퓨터 모델링은 뇌하수체 모형과 난소 모형 두 가지 모델을 이용했다. 

내분비계는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에서 호르몬을 분비해 다양한 단계의 생리 주기를 조절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들 호르몬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20~34세 건강한 여성 23명을 모집해 뇌하수체와 난소 호르몬 수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실험 참여자들은 25~35일간의 규칙적인 월경주기를 가지고 있었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정상적인 월경주기의 수학적 모델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정상 월경주기 동안 매일 호르몬 수준을 예측하고 외부에서 투여된 호르몬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월경주기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 그동안 수많은 모델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투여 타이밍 검토를 위해 모델링 기반으로 투여량을 최소화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라고 강조했다. 

연구결과, 경구피임약은 현재보다 훨씬 적은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으로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항상 복용할 필요가 없고, 월경주기의 특정 시기에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가능성이 드러났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Flickr

연구팀은 "지금보다 에스트로겐 단독으로 총 용량의 92%, 프로게스테론 단독으로 총 용량의 43%를 줄일 수 있으며, 난포기 중반에 에스트로겐을 전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설명했다. 난포기는 난자의 성숙 기간으로 흔히 28일 주기를 기준으로 월경 시작일부터 배란일(월경 시작 후 14일)까지를 의미한다. 

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함께 섭취하면 더 낮은 용량으로도 충분히 임신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는 개인의 월경주기 변동 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어디까지나 모델링에 불과하다"면서도 "저용량 호르몬으로 부작용 위험을 낮출 수 있다면 더 많은 여성에게 경구피임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