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자동차·도심 곳곳 ‘웅~웅’…지구를 더 뜨겁게 달군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송협 선임기자] “연일 찜통과 같은 더위에 지친 사람들이 에어컨을 찾는 것도 결국 생존을 위한 당연한 이치입니다. 당장 더워서 견딜 수 없는 사람들이 당장 더위를 식혀 줄 에어컨을 마다할 수 없겠지요. 다만 이 고마운 에어컨이 작동될 때마다 지구의 온도 역시 덩달아 상승한다는 것도 감내해야 합니다. 선택의 여지가 없는 현실입니다.” (기후환경 포럼 박경민 연구위원)

조금만 걷기만 해도 솟아오른 땀의 염분을 흡수한 피부는 끈적임으로 불쾌하다. 뜨겁고 습한 한반도 곳곳이 연일 40도 안팎의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폭염’ ‘가마솥’ ‘찜통’ 더위라는 수식어는 이제 낯설지 않다. 그만큼 지구의 평균기온이 매년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지구의 평균기온이 매년 오르고 있는 만큼 국내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든 우리나라는 급변하는 산업화의 발전 속도에 맞춰 기온 상승도 동반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지난 1960년대 개발도상국 수준에 머물렀던 시절을 경험한 70~80대 연령층을 통해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인천지역 토박이로 올해 76세인 박OO 어르신은 “같은 여름이라도 60년대, 70년대 여름은 이렇게 덥지 않았다.”면서 “무엇보다 햇살은 뜨겁더라도 습도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과거와 비교할 때 현재 더위는 숨이 턱턱 막힐 것처럼 덥다.”고 전했다.

기상학자들은 올해 여름 평균기온은 역대 더 뜨겁고 더 빨리 찾아왔다고 전언한다. 특히 지난 2016년과 비교할 때 체감으로 느끼는 기온이 더 뜨거워진 살인적인 폭염의 한 해로 기록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린피스가 분석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을 비롯해 중국 본토와 일본 모두 예년과 비교할 때 30도 이상 더운 날씨가 일찍 찾아왔다. 서울은 물론 올림픽이 개최 중인 도쿄의 경우 지난 2001년부터 2020년까지 30도 이상 무더위가 과거 10년 전(1981년~2000년) 대비 11일이나 일찍 시작됐으며 기간도 길어졌다.

서울지역 10년 평균 폭염일수 그린피스 캡처
서울지역 10년 평균 폭염일수 그린피스 캡처

특히 우리나라 도시는 중국 본토와 일본의 도시보다 최근 10년간 35도를 기록한 폭염 일수가 지난 60년을 통틀어 가장 많았다. 실제로 부산은 지난 1961년부터 2010년까지 폭염이 10일 이상 기록된 적이 없는 반면 2012년 13일, 2018년 18일을 기록하면서 산업화 발전에따른 여름 폭염 기간이 매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모 대학 지구과학 교수는 “아시다시피 올해는 지난 2018년 이후 3년 만에 ‘열돔 현상’과 온열 질환이 기승을 부리고 있을 만큼 ‘초고온(超高溫)’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매년 높아지고 있는 지구의 평균기온의 가장 큰 원인은 화석연료를 비롯해 인위적으로 냉각을 위해 외부로 쉴새 없이 뿜어대는 온실가스도 한 몫 거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뜩이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 장기화로 무더위에 마스크까지 더해지면서 체감으로 느끼는 더위에 사람들은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혹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이제 봄·가을은 짧아지는 대신 여름과 겨울이 길어지며 설상가상 여름철 온도는 매년 더 오르고 있어 이러다 필리핀, 태국과 같은 동남아 열대 기온이 지속될까 걱정”이라고 말이다.

이렇게 매년 온도가 상승하는 가장 큰 원인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은 산업화의 전형인 화석연료를 지목하고 있다. 실제로 여름철 기승을 부리고 있는 폭염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에 따른 지구 온난화에 엘니뇨 현상까지 겹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엄청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는 화석연료와 비교할 때 그 수준은 상대적으로 미비하지만 더위를 이기지 못해 도심 속 빌딩과 자동차 등에서 쉬지 않고 가동되고 있는 에어컨도 결국 지구 온난화를 부추기고 있다.

에어컨은 냉매(冷媒)라 불리는 액체 가스가 기화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가는 원리로 공기를 냉각시킨다.

말 그대로 에어컨은 21세기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인류의 더위를 억제할 수 있는 IT 과학 기술의 산물 중 하다. 앞서 지난 20세기 초반 세상에 나온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이 이 문명의 혁신 기술 덕분에 쾌적하고 시원한 여름을 견뎌내고 있다.

지구 평균기온이 상승할수록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에어컨은 이제 인류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용품이다. 에어컨은 기온이 높은 여름철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열대야 현상에도 숙면을 도와준다.

무엇보다 열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낮 동안 일상병과 온열질환과 같은 질병 사망률을 감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문제는 앞서 언급한 ‘폭염’ ‘가마솥’ ‘찜통’ 등 살인적인 더위에서 인간을 지켜내고 있는 에어컨은 시원한 쾌적함을 바탕으로 삶의 질을 높여주는 긍정적인 효과 이면에 감춰진 민낯을 마주하기 전의 평가다.

우리 인류가 입에 침이 마르도록 폭염이 기승하는 여름철 탄복을 마다하지 않는 에어컨의 또 다른 이면에는 지구의 온난화를 자극하는 함정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에어컨은 우리에게 시원하고 쾌적함을 제공해 더위를 식혀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에어컨 가동을 위해 막대한 전기에너지를 흡수한다.

A 전자 기술 서비스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탠드 및 시스템 에어컨의 경우 선풍기 20~30대, 이보다 작은 벽걸이 에어컨은 선풍기 10대 이상을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는 수준”이라며 “에어컨 사용은 화력발전소 가동을 가속화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늘리는데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에어컨을 사용할 때 배출되는 냉매 가스 자체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에어컨에서 냉기를 뿜어내는 화학물질인 냉매는 원래 프레온가스(CFCs 염화불화탄소)로 사용돼왔다. 냉각 효율성이 높아 사용된 프레온가스의 단점은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지난 1990년대 에어컨 기기 제작에서 배제됐다.

이를 대체하기 위한 냉매로 수소연화불화탄소(HCFC)인데 이 역시 오존층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전 세계에서 오는 2030년까지 생산과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우리나라도 2040년 전면 퇴출이 예정되고 있다.

‘냉매’ 즉 냉각 효과를 일으키는 화학작용을 배제하기 위한 각국의 이 같은 현상은 결과적으로 에어컨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화석연료 발전소 가동률도 덩달아 늘어나고 있어 지구 온난화를 자극하고 있다는 데서 기인한다.

아울러 살인적인 더위를 식히는 에어컨의 사용량 증가에 바탕에서 팽창하고 있는 세계 인구와 급변하고 있는 산업 및 도시화도 예외는 아니다.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가동과 도시의 열섬 효과, 그리고 건물과 자동차 등에서 내뿜는 에어컨의 열기가 결국 지구의 온난화를 가중시키는 것은 연간 평균기온 상승의 요인이라는 것은 외면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고 더 빠르고 더 뜨거워진 더위에 지친 사람들이 에어컨을 사용하는 것을 말릴 수는 없다. 무섭게 치솟는 열돔 현상에 열대성 질환에 생명의 위협을 느껴 에어컨을 찾는 것은 당연한 이치니 말이다.

때문에 온실효과는 낮추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지 않는 혁신적인 냉매 기술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다.

그린피스 활동가는 “정부와 기업이 신속한 기후 조치를 위해 화석 연료 사업 자금 조달을 종료하고 100% 재생 에너지 전환과 함께 확고하고 달성 가능한 해결책과 기후위기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