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 = 이미지 제공
ⓒ데일리포스트 = 이미지 제공

[데일리포스트=장서연 기자]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서 3월 22일 0시 기준 신규 1차 접종자는 없고, 67만 6607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이 84.6%였다고 밝혔다.

이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61만 9100명, 화이자 백신은 5만 7507명인다.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7만 7873명(87.8%), 요양시설은 9만6040명(89.0%), 1차 대응요원은 5만 4628명(72.5%),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29만 0297명(82.3%)이 1차접종을 완료했다.

2차접종을 시작한 코로나19 환자치료병원의 경우, 5만 7507명(94.0%)이 1차 예방접종을 받았고 593명(1.0%)이 2차 예방접종을 받았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3.22일 0시 기준)는 총 9703건(신규 17건)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9592건(신규 17건)으로 대부분이었다.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89건, 중증 의심 사례는 경련 등 6건, 사망 신고사례 누적 16건이 보고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다.

추진단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21.2.26일∼3.20일)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 분석 결과를 설명했다.

주간 접종자(’21.3.14일∼3.20일)의 1.6%(1,379건/85,845건 접종)에서 이상반응 의심사례를 신고했다.

이상반응 신고율은, 성별로는 여성 1.9%, 남성 0.9%로 여성이 더 많았고, 연령별로는 20대 2.8%, 30대 1.5%, 40대 1.3%, 50대 1.0%, 60대 0.5%로 젊은 연령층의 신고율이 더 높았다. 

접종기관별 신고율은, 요양병원 5.8%,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3.5%, 요양시설 1.0%, 1차 대응요원 0.7%, 코로나19 치료병원 0.3% 순이었으며, 백신 제조사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2.3%, 화이자 0.3%로 나타났다.

임상증상별로는 발열 47.9%, 근육통 46.9%, 두통 29.6%, 오한 23.3% 순으로 나타났으며,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98.3%) 등이 대부분이었다.

확인된 사망 사례들은 같은 기관‧같은 날짜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중증 이상반응 사례는 없었다.

재까지 수집‧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평가하였으며, 추가 확인된 검사 결과 및 부검 1차 소견 등을 바탕으로 패혈증, 폐색전증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어,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과 사망과의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경우로 잠정적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평가대상 중 현재 부검 중(국립과학수사연구원)인 사례는 최종 부검 결과를 확인하여 예방접종피해조사반에서 추가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아나필락시스 의심 및 중증 사례로 신고된 10건에 대한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10건 중 예방접종 후 10분 이내에 아나필락시스에 합당한 임상증상을 보인 1건과 예방접종 후 고열, 경련 이후 다음 날 혈압저하가 나타난 1건은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었다.

이외 중증사례 중 ▲ 검사결과에 따라 명확한 원인이 확인된 경우는 명백히 관련성이 없는 경우로, ▲ 증상 발생이 기저질환 및 전신상태로 인해 기인했을 가능성이 백신에 의한 유발 가능성보다 더 높은 경우, ▲ 시간적 개연성이 낮은 경우는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경우로 판단했다.

인과성이 인정된 2건의 사례는 신고된 증상이 모두 호전된 것으로 확인됐다.

추진단은 추후 신고된 사망 및 중증 사례에 대해서도 해당 지자체와 함께 역학조사 중으로,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을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평가 결과를 공표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유럽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예방접종 후 혈전 의심사례가 보고되어 조사 및 검사가 진행 중이다.

이에, 관련 학회의 전문가들과 함께 접종 대상자 및 의료인들을 위한 안내문을 검토하여 배포할 예정이며, 혈액응고장애 보고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유지하면서 코로나19 백신관련 혈전증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백신과의 관련성에 대해 지속 논의하고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