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물탱크에 보관중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니혼게이자이신문

[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 2011년 3월 11일 일본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인 규모 9.0의 강진이 동북부를 강타한 '동일본대지진' 발생 10주년을 맞았다. 사상 초유의 지진은 최대 9.3m 쓰나미와 후쿠시마(福島) 제1 원자력 발전소 폭발로 이어졌다. 

동일본 대지진이 촉발한 재앙의 씨앗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에 이어 역사상 두 번째인 7등급 원자력 사고다. 

일본 정부는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후쿠시마 원전 내 오염수를 눈 딱 감고 방류하는 것 말고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2022년 여름경 시작될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일본발 방사능 공포에 국민들의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 

◆ 자연재해에 인재겹쳐...폐로·오염수 처리 등 난제 산적 

동일본 대지진으로 일본에선 1만 5천899명이 사망하고, 2천527명이 행방불명됐다. 10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사고 수습은 현재진행형이고, 원전 폐로와 폐로 과정의 수많은 오염물질의 수습은 겨우 걸음마 수준에 불과하다. 

당초 일본은 40년 안에 원전 부지를 녹지로 복원하겠다고 밝혔지만 이젠 일본에서도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후쿠시마(福島) 제1 원자력 발전소 폭발 장면 ⓒ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후쿠시마 중앙TV

특히 최우선 과제는 후쿠시마 원전에 쌓인 124만t가량의 오염수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도쿄전력이 10년 동안 뜨겁게 달궈진 핵연료 찌꺼기를 식히기 위해 투입하고 있는 순환냉각수에 빗물과 지하수가 유입돼 고농도 방사능 오염수가 한없이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는 하루 평균 160~170톤씩 발생한다. 일본에서는 다핵종제거설비(ALPS) 정화시설을 통해 오염수를 정화했다며 이를 '처리수'로 부르지만 처리수에도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는 잔존한다. 또 후쿠시마 오염수의 21%가 방사능 기준치를 10배 이상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일본 정부는 당장 내년이면 오염수 저장 탱크를 보관할 장소가 없고, 방출하지 않으면 처리 비용이 천문학적이라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고준위 오염수 등 방사성 폐기물을 장기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방안을 고민하는 대신 오염수 방류로 주변국까지 위험에 빠뜨리는 선택을 하려 한다.

방사능 누출 피해의 영향과 파급력이 어느 정도일지 현재로선 불분명하며, 오염수 처리 등 생태계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 유엔 전문가, "日오염수 태평양 방류 경고" 

이런 상황에서 유엔 전문가들은 11일(현지시간) 원전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려는 일본 정부에 대해 "수용 가능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성명에서 일본 정부가 주장하는 '처리수' 대신 '오염수'라고 적시하고, "후쿠시마 제1 원전 오염수는 환경 및 인권에 중대한 위험을 내포한다. 오염수가 초래할 위험의 본질과 그 폐기의 영향을 둘러싼 불투명성, 결정 과정에 대한 대중의 참여 부족은 이에 영향을 받을 사람들을 실망하게 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matcha

이어 "우리는 일본에 피폭을 방지해야 할 지속적인 의무가 있다는 점을 상기한다. 무엇보다 어린이와 취약 계층의 방사능 노출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일본 당국이 국제 인권 의무에 따라 위험을 방지하고 방사능 노출 부작용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이번 성명에는 독성 및 인권에 관한 특별 보고관·식품권에 관한 특별 보고관·안전한 식수 및 위생에 관한 특별 보고관 등 5명의 유엔 전문가가 참여했으며, 이들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한을 일본 당국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