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Unsplash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코로나19 바이러스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인체조직에서의 세포 친화성(cellular tropism)·복제능력·지속성 등을 조사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에 따르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호흡기 계통 이외의 조직에서도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논문은 12월 1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Nature

코로나19는 급성기에 복수의 장기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 확진자는 호흡 곤란 등의 다양한 후유증이 지속되는 통칭 '롱코비드(PASC)'에 시달리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여러 건 존재하지만, 지금까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비호흡기 질환에 미치는 영향 및 뇌 등 비호흡기 조직에 잔존하는 기간 등에 대한 상세한 조사는 부족했다. 

이번 논문에는 코로나19 급성기부터 증상 발병 7개월 경과 기간에 뇌 등 비호흡기계 조직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어떻게 분포·증식하는지 등이 정량화되어 있다.

연구팀은 2020년 4월 26일부터 2021년 3월 2일까지 44명의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이자 코로나19에 감염돼 사망한 환자의 부검 뇌 표본과 11명의 중추신경계 샘플링을 분석했다. 연구팀이 PCR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분석 대상 샘플 중 38개가 양성이었다.

구체적으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N단백질 유전자를 정량화하기 위한 ddPCR 검사.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세포 친화성을 알아보기 위한 ISH 분석 ▲뇌 조직 내 바이러스 존재 검증을 위한 면역형광염색(IF) 및 면역조직화학(IHC) 분석 등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실시간 정량적 역전사 PCR 분석을 통해 리보핵산(RNA)을 검출하고, VeroE6 세포로 바이러스 분리 실험을 진행해 호흡기 조직 간 증식 가능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존재를 실증했다. 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스파이크 단백질이 갖는 변이체의 다양성 및 분포를 6명의 개인 샘플을 HT-SGS 분석을 통해 측정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Unsplash

부검 검체는 사망 당시 코로나19 감염일수를 기준으로 '14일 이내', '15일 이상 30일 미만', '31일 이상' 등 3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또 16명의 심실간 중격조직 이미지 분석을 통해 ddPCR 검사에서 검출된 N단백질 RNA와 ISH 분석에서 검출된 스파이크 단백질 RNA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조사 대상자의 30%가 여성이었고 연령 중간값은 63세, 그중 61%가 최소 3가지 병존 질병 환자였다. 발병부터 입원까지 기간의 중앙값은 '6일', 발병부터 사망까지의 기간의 중앙값은 '19일'이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RNA는 84개소의 해부학적 부위에 존재했지만, 다른 조직보다 호흡기 조직에 유의하게 많이 존재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RNA는 초기 중기·후기 증례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나 부검 혈청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RNA를 검출한 것은 초기 증례에서 11건, 중기 증례에서 1건뿐이다. 

후기 증례 부검 혈청에서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RNA를 검출하지 못했음에도 후기 증례 체내 조직에는 지속적으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RNA가 존재했다. 6건의 후기 증례 중 5건에서 뇌 조직 내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RNA가 확인됐다. 

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RNA는 체내 조직 및 혈청, 유리체액, 흉수를 포함한 체액에서 검출됐다. 이외에도 초기 증례의 림프절·심장·부신·위장·눈 조직 표본의 45%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검출됐다. 

조직 병리학적 분석 결과, 증례의 92%가 확산성 폐포 손상 혹은 급성 폐렴으로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심근 염증세포의 침윤, 방피질 및 여포 과형성도 확인됐다. 다만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RNA가 체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직접적으로 일으키는 세포 병리학적 영향 및 염증은 비호흡기 조직에서는 극히 미미하게 관측됐다. 

연구팀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감염 초기 뇌 등 비호흡기계 조직으로 확산되고 복제를 반복해, 증상 발병 후 수개월(최대 230일 정도) 동안 체내에 계속 잔존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