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Unsplash 제공)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Unsplash 제공)

[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 8년 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에서 일본발 방사능 공포가 이어지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에 이어 역사상 두 번째인 7등급 원자력 사고다. 방사능 누출 피해의 영향과 파급력이 어느 정도일지 현재로선 불분명한데다, 오염수 처리 등 생태계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일본의 최인접 국가인 한국은 다각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를 견지할 필요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는 잠재적인 위험성이 막대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대형 물탱크에 보관중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형 물탱크에 보관중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2015년 호우로 이타테무라 임시 보관소에서 제염 폐기물 자루 240개가 유출된 데 이어 올해 10월 19호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폐기물 자루 91개 유출, 11월에는 1원자력발전소 배기통 방사능 빗물 400리터 유출 사고가 연이어 터졌다. 이미 유출된 오염 폐기물과 오염수의 경로조차 파악되지 않았는데 원전 오염수 자체를 해양으로 방출하려는 도를 넘는 일본 정치권의 발언이 이어지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 일본 폐기물 관리 체제 ‘우려 증폭’ 

지난 10월 19호 태풍 '하기비스'의 강타로 후쿠시마현 4곳과 도치기현 1곳에서 보관해오던 방사성 폐기물 91개 자루가 폭우와 하천 범람으로 유실되는 등 일본 원전사고 폐기물 관리 체제의 문제가 다시 수면위로 드러났다. 

같은 10월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에서 강이 범람해 인근 공장(후쿠하라 도금 공장 '엠티아이(MTI)'의 맹독성 물질 ‘사이안화나트륨’ 유출이 확인돼 주민 대피 경고도 나왔다. 사이안화나르륨은 매우 독성이 강한 염으로, 물과 접촉시 맹독성 가스를 발생시킨다. 

제염 폐기물을 담은 자루가 쌓여있는 모습

11월에는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배기통의 고농도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약 400리터의 오염수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지적됐다. 도쿄전력은 11월 27일 "후쿠시마 제1원전 내 제1·2호기 원자로 공용 배기통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저장하는 콘크리트 용기에 균열이 생겨 방사성 오염 빗물이 지하로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요미우리신문과 NHK 등 현지 언론은 "방사능 빗물은 지난 10월 이후 유출이 시작됐고, 도쿄전력이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이미 땅속으로 흘러들어간 양이 약 400리터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 韓 오염수 국제 공론화 vs. 日 환경 영향 미비 주장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 문제의 발단은 1960년대 말 원자로 건설에 나선 도쿄전력이 발전소 기단부를 건설비용 절감을 위해 당초 해수면에서 35m 높이 계획을 10m 높이로 선회하면서 시작됐다. 여기에 비상 디젤 발전기를 포함해 터빈 건물 등 발전소 지하 설비는 이보다 14m나 더 낮은 곳에 설치하면서 지질학적으로 심각한 지하수 문제가 생겼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지면서 사태가 악화됐다.

일본은 방사능 오염수의 처리방안을 정하지 못한 채 대형 물탱크에 넣어 원전 부지에 보관하고 있다. 오염수는 오는 2030년이면 200만 톤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일본에서는 정화시설을 통해 오염수를 정화했다며 '처리수'로 순화해 부르고 있지만 처리수 자체에도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는 여전히 잔존한다. 

IAEA 63차 총회의 기조연설에 나선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IAEA 63차 총회의 기조연설에 나선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한국 정부는 국제무대를 통한 공론화에 나섰다. 올해 IAEA 총회서 방사능 오염수 문제에 대해 공식 항의 입장을 밝힌 이후 영국 런던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열린 런던협약ㆍ의정서 당사국총회와 필리핀에서 개최된 세계보건기구(WHO) 회의에서도 이를 공론화했다. 중국과는 오염수 문제에 대해 공감대를 확인하고, 공동 대응 방침을 발표했다. 

한국정부의 일련의 노력에 대해, 일본 극우성향 산케이신문은 "도쿄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일본 이미지를 깎아내리려는 의도"라며 "오해의 확산을 막기 위한 효과적인 반론이 일본 정부의 과제"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처리 방안을 놓고 ▲해양 방류 ▲지하 매립 ▲수증기 형태로 공기 중 방출 등 6가지 안을 놓고 검토 중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그 한편으로는, 일본 정치권을 중심으로 방류가 가장 비용이 저렴하고 효과적이라며 해양 방류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연이어 나오는 상황이다. 

오염수 방출을 주장하는 호시노 고시 전 일본 환경상 트위터

후케다 도시오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이 “오염수 방출 기준만 지키면 신체에 영향은 없다”고 주장한데 이어 이달에도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또다시 나왔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대응 책임자였던 호시노 고시(細野豪志) 전(前) 일본 환경상은 2일 마이니치 신문에 “고농도 오염수는 결국 충분히 희석시킨 후 바다로 방출하는 방법 밖에 없다”는 기고문을 실었다. 

우리 정부는 원전 오염수 관리 안전성에 대해 주변국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은 여전히 “처리 계획이 없다”며 모호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지난 2일 후쿠시마 제1원전의 수조에 보관하는 사용후핵연료와 미사용핵연료를 2031년까지 모두 반출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