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신다혜 기자] 차량 공유 서비스로 맞붙었던 카카오와 쏘카가 공유 자전거 시장까지 경쟁세를 펼치고 있다.

운수산업계의 반발과 규제 등으로 카풀 서비스에 난황을 겪으면서 새로운 모빌리티 사업을 펼치는 형국이다. 승차공유 서비스는 결국 주행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빅데이터 수집 과정 중 하나다.

그 과정에서 차량을 비롯한 공유자전거, 스쿠터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기업들이 현재 승차공유 서비스 난항에 굴하지 않고 다른 대안책을 내놓을 수 있는 이유다.

카카오모빌리티·쏘카, 공유모빌리티 기업간 경쟁구도

최근 카카오모빌리티는 인천광역시 연수구와 경기도 성남시에서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 '카카오 T 바이크'를 시범 개시한다고 밝혔다. 시범 서비스는 경기도 성남시에 600대 인천에 400대 등 모두 1000여대를 운행할 예정이다.

카카오T바이크는 전기자전거로 별도 거치대 없이 대여와 반납 가능한 점이 장점이다. 또한 카카오T 앱에서 전기자전거의 위치를 확인해 자전거에 부착된 QR코드나 일련번호로 인증한 뒤 목적지까지 이동하면 된다.

이용시간 제한은 없으며 이용 후 잠금장치를 가동하면 자전거 이용이 종료되고 요금이 자동으로 결제된다.

카카오는 올 하반기 정식 출시에 맞춰 다양한 지방자치단체와 협의 중으로, 전기자전거를 3000대 이상 확충할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 정주환 대표는 “생활양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수단에 대한 요구가 다양화 되는 실정”이라며“기존 교통수단이 미치지 못하는 단거리 이동을 보완, 실질적인 개인 맞춤형 이동수단으로 자리잡겠다”고 설명했다.

쏘카도 전기자전거 공유 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모양새다. 쏘카는 국내 최초 전기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일레클'에 투자를 완료한데 이어 도시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서 전기자전거 셰어링 사업을 정식 론칭, 연내 전국 2000대 확대에 나설 전망이다.

일레클은 서비스 시작 3주 만에 재사용률 70%를 달성한 바 있다. 향후 3월 서울 전 지역으로 확대해 350대 규모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현재 각 지자체와 서비스 지역 확장에 대한 협의중이며 단계별로 연내 전국 2천 대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일레클 서비스 기업 나인투원 배지훈 대표는“인프라 관리, 플랫폼 운영, 수요공급 최적화 등 쏘카의 노하우가 전기자전거 공유서비스 확대와 완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쏘카와 함께 모빌리티 혁신을 더욱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자전거 강점 활용, 사후 인프라 관리 및 대응책 마련이 관건

카카오T바이크와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유자전가 ‘따릉이’ 간의 가장 차이점은 전기자전거라는 점이다. 전기동력이 탑재돼 있어 일반 자전거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언덕을 쉽게 올라갈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대여와 반납 장소가 자유롭기 때문에 운행이 수월하다.

국내에서는 자전거를 취미생활로 여긴다.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여기는 미국, 유럽에 비해 국내 공공자전거 사용률이 저조한 이유 중 하나다.

전기자전거는 언덕이 많은 지형에서도 수월하게 탈 수 있기 때문에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기자전거는 일반 자전거보다 사고의 위험이 높다. 지난 2월 25일에는 미국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라임' 이용자가 스쿠터 급정지로 인해 부상당하기도 했다. 또한 배터리 교체 및 충전, 최적화 배치 등에 따른 운영 요소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가 관건이다.

중국의 공유자전거 기업 ‘오포(offo)’는 창업 2년 만에 유니콘(기업 가치 1조원 이상) 기업으로 등극했다. 전 세계 21개국으로 진출, 회원 2억명을 보유하기도 했으나 지난해 12월 파산했다. 부실한 자전거 인프라 관리, 자금난 등 때문이다.

이에 카카오가 강조하는 부분은 지자체와의 협력이다. 인천시와 성남시는 별도로 자전거 교통사고 보험에 가입해 이용자들이 '카카오T바이크' 사고시 수습을 돕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자체가 자전거 보관 부지를 제공, 카카오가 자전거 위치를 일일이 개별 파악할 수 있도록 협조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